안경렌즈 구입 시 최대 50만원 지원받는 3가지 방법



2025년 10월 현재,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를 새로 맞출 계획이 있다면 최대 5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가 있습니다. 많은 분들이 놓치는 핵심은 다음 세 가지를 모두 활용하는 것입니다.

① 의료비 세액공제, ② 정부·지자체 안경렌즈 지원사업, ③ 민생회복지원금


1. 의료비 세액공제로 최대 50만원 절세하기

- 대상: 근로소득자 및 부양가족
- 한도: 1인당 연 50만원까지 세액공제 가능
- 조건: 시력교정용 안경·콘택트렌즈만 인정
- 신청: 연말정산 시 의료비 세액공제 항목에서 선택

: 카드 결제 내역은 국세청 간소화에 자동 반영되며, 현금 결제 시에는 영수증 제출이 필요합니다.

주의: 백화점·온라인몰 구매는 불가, 반드시 안경원 결제 내역만 인정됩니다. 


2. 정부·지자체 안경렌즈 지원사업 활용

- 청소년 (기초생활수급자·차상위): 최대 20만원
- 노인 (복지카드·기초연금 수급자): 10~15만원
- 장애인 (시각장애 등록자): 최대 30만원

신청방법: 주민센터 방문 접수 또는 정부24 > 복지서비스에서 ‘안경렌즈 지원사업’ 검색 후 온라인 신청

사용처: 지자체 지정 안경원에서만 사용 가능

속도 팁: 지역 예산이 조기 소진될 수 있으니 가능한 한 빠르게 신청하세요. 


3. 민생회복지원금으로 안경 구입

- 지급대상: 전 국민(소득별 차등)
- 지원금: 15만~55만원
- 신청기한: 2025.07.21 ~ 2025.11.30
- 사용처: 연매출 30억 이하 안경원,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

주의: 백화점·온라인몰 사용 불가. 신용카드·체크카드·지역상품권 중 선택 가능하며 11월 30일까지 반드시 사용해야 합니다.


지자체·기업 추가지원 체크

- 파주시: 기초생활수급자 대상 안경 구입비 지원
- 한국실명예방재단 × 삼성디스플레이: 저소득층 청소년 안경비 최대 5만원 지원

거주지 지자체 복지포털과 관련 재단 공지를 수시로 확인하면 추가 혜택을 놓치지 않을 수 있습니다. 


마무리

안경렌즈 구입은 건강을 위한 필수 지출입니다. 의료비 세액공제, 지자체 지원, 민생회복지원금을 함께 점검하면 체감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. 지금 바로 거주지 기준으로 신청 조건을 확인하고, 가능한 제도를 모두 챙기세요. 

댓글 쓰기

0 댓글

신고하기

프로필

이 블로그 검색

태그

이미지alt태그 입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