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년에도 정부는 아동의 자립을 돕기 위한
‘디딤씨앗통장(아동발달지원계좌)’ 사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.
이 제도는 보호아동과 저소득층 아동이
성인이 되었을 때 자립할 수 있도록 자산을 형성하게 돕는 정책이에요.
오늘은 신청방법, 자격조건, 지원금액, 사용처, 주의사항까지
한눈에 정리해드리겠습니다.
디딤씨앗통장이란?
디딤씨앗통장은 보건복지부가 운영하는 아동발달지원계좌로,
아동이 매달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같은 금액을 1:1로 매칭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.
예를 들어 매달 5만 원을 저축하면
정부가 5만 원을 추가로 넣어 월 최대 10만 원까지 적립됩니다.
이 적립금은 성인이 된 후
학자금, 취업, 주거, 창업 등 자립을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 가능합니다.
지원 대상 (자격조건)
2025년 기준 신청 가능한 대상자는 다음과 같습니다.
-
보호아동 (아동양육시설, 그룹홈, 가정위탁 보호 중인 아동)
-
기초생활수급자 가정 아동
-
법정차상위계층 아동
-
한부모가정 아동
-
소년소녀가장 및 자립준비청년(보호종료 청소년)
※ 만 18세 미만 아동이 신청 가능하며,
보호종료 후 3년 이내 자립준비청년도 신청 가능합니다.
지원 금액
| 구분 | 본인 저축금 | 정부 매칭금 | 월 최대 적립액 |
|---|---|---|---|
| 일반 아동 | 최대 5만원 | 최대 5만원 | 10만원 |
| 후원금 추가 시 | 5만원 이상 | 정부 매칭 유지 | 상향 가능 |
정부 매칭금은 지자체 예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,
대부분 월 5만 원까지 동일하게 지원됩니다.
신청 방법
-
복지로 홈페이지 접속 (여기에 링크 넣는 자리)
-
상단 검색창에 ‘디딤씨앗통장’ 입력
-
온라인 또는 방문 신청 선택
-
신청서 + 보호자 신분증 + 아동 주민등록등본 제출
-
심사 후 계좌 개설 및 자동 매칭 지원 시작
※ 온라인 신청이 어려운 경우,
가까운 읍·면·동 주민센터 방문 접수도 가능합니다.
사용 가능한 목적 (사용처)
디딤씨앗통장은 성인이 된 후 자유롭게 인출할 수 있는 돈이 아닙니다.
법령에 따라 반드시 자립을 위한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어요.
사용 가능한 대표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.
-
대학 및 전문대 등록금
-
자격증 취득비, 취업훈련비
-
전·월세 보증금 등 주거비
-
창업 자금
-
결혼 및 출산 준비 비용
※ 사용 전에는 반드시 보건복지부 승인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.
해지 및 주의사항
-
만 18세 이후 자립 시까지 유지 가능
-
중도 해지 시 정부지원금은 환수될 수 있음
-
정기 납입 누락 시 자동 매칭이 중단될 수 있음
마무리
디딤씨앗통장은 단순한 저축 계좌가 아니라,
아동의 미래 자산 형성을 돕는 정부 지원 제도입니다.
특히 2025년부터는 지자체별 추가 매칭과
자립준비청년 확대 지원이 예고되어 있으니
대상자라면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.
0 댓글